이세벨 (Jezebel)

Good4Joy
(이세벨에서 넘어옴)
나봇의 포도원에 대해 아합과 이세벨에게 하나님의 심판을 경고하는 선지자 엘리야 (열왕기상 21장)

이세벨은 구약 인물로 시돈의 공주로 북이스라엘 아합 왕의 아내입니다.

  • (왕상 16:31)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를 따라 행하는 것을 오히려 가볍게 여기며 시돈 사람의 왕 엣바알의 딸 이세벨을 아내로 삼고 가서 바알을 섬겨 예배하고

시돈의 공주

이세벨은 티레의 왕 이토바알 1세(Ithobaal I, 엣바알)의 딸인 페니키아의 공주로 성경에 소개됩니다. 열왕기상 16:31은 그녀가 "시돈 사람"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페니키아인(Phoenician)을 지칭하는 성경 용어입니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Flavius Josephus) 와 다른 고전적 자료에 나와 있는 족보에 따르면, 그녀는 카르타고(Carthage)의 여왕 디도의 큰고모였습니다. 이토바알 1세의 딸인 그녀는 바알-에세르 2세의 자매이기도 했습니다. 이세벨은 결국 이스라엘의 북쪽 왕국인 사마리아의 아합 왕과 결혼했습니다.[1]

우상 숭배

이세벨의 남편 아합은 BC 873-853, 22년 동안 북이스라엘을 다스립니다. 이세벨은 아합과 결혼 후, 남편과 함께 바알과 아세라의 우상을 섬기며 하나님 앞에서 악을 행합니다.

열왕기상 16:31에 언급된 바알은 물론 시돈의 신으로, 자연의 생산적 원리로 숭배되며, 여성적 또는 수용적 원리인 아스타르테 (Astarte)와 함께 숭배됩니다. 그 단어 자체는 “주인(Lord)”를 의미할 뿐이며(실제로 호세아 2:16에서[2] 여호와 자신에게 적용하셨음), 거의 변함없는 관사 접두사로 단순한 칭호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그 의미가 독특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신화의 최고신에게 적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 사용됩니다.[3]

아합의 죄는 솔로몬의 죄와는 매우 달랐습니다. 솔로몬은 외국 아내들에게 관대하여 그들의 신을 위한 사원을 허용했지만, 자신은 우상 숭배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이세벨은 아합에게 더 크고 나쁜 영향을 미쳤습니다.[4]

엘리야의 경고

선지자 엘리야는 아합 왕과 이세벨의 악행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으로 이스라엘의 가뭄을 예고합니다.

  • (왕상 17:1) 길르앗에 우거하는 자 중에 디셉 사람 엘리야가 아합에게 말하되 내가 섬기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내 말이 없으면 수 년 동안 비도 이슬도 있지 아니하리라 하니라

3년 후 엘리야는 아합 왕을 만나는데, 당시 이세벨은 이스라엘의 선지자들을 죽이고 있었습니다.

  • (왕상 18:4) 이세벨이 여호와의 선지자들을 멸할 때에 오바댜가 선지자 백 명을 가지고 오십 명씩 굴에 숨기고 떡과 물을 먹였더라

엘리야는 갈멜산에서 바알 선지자 400명과 대결하여 이기고 그들을 죽입니다. 바알 선지자들이 죽자 이세벨은 엘리야를 죽이겠다고 위협합니다.

  • (왕상 19:2) 이세벨이 사신을 엘리야에게 보내어 이르되 내가 내일 이맘때에는 반드시 네 생명을 저 사람들 중 한 사람의 생명과 같게 하리라 그렇게 하지 아니하면 신들이 내게 벌 위에 벌을 내림이 마땅하니라 한지라

엘리야는 이세벨의 위협이 두려워 광야로 도망합니다.

나붓의 포도원

아합 왕이 나봇(Naboth)의 포도원을 탐냅니다. 이에 이세벨은 나붓이 하나님과 왕을 저주했다고 거짓 고발하여 나붓을 죽입니다.

  • (왕상 21:15) 이세벨이 나봇이 돌에 맞아 죽었다 함을 듣고 이세벨이 아합에게 이르되 일어나 그 이스르엘 사람 나봇이 돈으로 바꾸어 주기를 싫어하던 나봇의 포도원을 차지하소서 나봇이 살아 있지 아니하고 죽었나이다

나붓이 죽자 아합은 그의 포도원을 취하고, 하나님은 엘리야 선지자를 통해, 아합과 이세벨의 악행에 대한 심판을 경고하십니다.

  • (왕상 21:23) 이세벨에게 대하여도 여호와께서 말씀하여 이르시되 개들이 이스르엘 성읍 곁에서 이세벨을 먹을지라

요한계시록의 이세벨

이스라엘에서 그녀의 우상 숭배적 영향력이 너무 깊어서 나중에 예수님께서는 그녀의 이름을 두아디라 교회를 부도덕과 거짓 신 숭배로 이끈 여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셨습니다.

  • (계 2:20) 그러나 네게 책망할 일이 있노라 자칭 선지자라 하는 여자 이세벨을 네가 용납함이니 그가 내 종들을 가르쳐 꾀어 행음하게 하고 우상의 제물을 먹게 하는도다

아마도 이세벨이 이스라엘을 우상 숭배와 성적 부도덕으로 영향을 끼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교회에 영향을 끼친 한 여인을 언급하면서, 예수님은 두아디라 교인들에게 그녀가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셨습니다. 이 여인이 누구였든, 그녀는 이세벨처럼 자신의 부도덕과 거짓 가르침을 회개하기를 거부했고(계 2:21), 그녀의 운명은 결정되었습니다. 예수님은 그녀와 함께 우상 숭배를 저지른 사람들과 함께 병상에 누이셨습니다(계 2:22).[5]

“여자 이세벨”에 대해 어떤 해석은 "네 아내 이세벨"이라 해석합니다. 이 구절을 보면 두아디라에 악을 행하는 개인적인 영향력이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천사"(사역자)의 가족인지 아닌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녀의 죄는 니골라당 사람들이 정죄받은 것과 동일한 죄 곧 음행과 우상의 제물을 먹는 것입니다. 위의 견해가 옳다면, 이 거짓 선지자는 여성으로, 추종자들은 그녀를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하는 선지자로 따랐습니다. 그러나 교회의 주께서는 하나님의 종들을 잘못 가르치고 미혹하는 바로 열왕기상 16장의 이세벨로 여기셨습니다.[3]

관련 자료

관련 문서

검색: 성경인물::이세벨

참고한 자료

각주

  1. https://en.wikipedia.org/wiki/Jezebel
  2. (호 2:16)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그 날에 네가 나를 내 남편이라 일컫고 다시는 내 바알이라 일컫지 아니하리라
  3. 3.0 3.1 Ellicott's Commentary for English Readers
  4.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5. https://www.gotquestions.org/Jezebel-spirit.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