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1 (모압으로)
(미완성 설교문) 민수기 21:15-25 (모압으로)
서론
민수기 1장부터 오늘까지의 말씀을 요약해 보면, 출애굽 후 이스라엘 백성이 시내 광야에서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기 위한 준비로 인구조사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정결함을 지키기 위한 계명을 받았습니다. 10~오늘 본문이 있는 12장까지는 시내 광야에서 약속의 땅 남쪽에 위치한 가데스로 가는 여정 이야기입니다. 그 여정이 시작되며 백성의 불평도 시작되고 그로 인한 하나님의 심판을 받습니다. 가나안 땅을 정찰하고 백성들은 애굽 (옛 죄의)으로 돌아가자고 20장 모세의 반석을 쳐서 물을 냄, 못들어가는 이유가 됨 죽어야 하는데, 예수님께 더욱 감사. 마음에 할례를 받은 자로서 하나님을 사랑하기 위해 하나님의 뜻을 더 알고 더 지키는 우리되기를 축원합니다.
미리암과 아론 죽음, 모세도 불순종으로 약속의 땅 못들어 간다는, 그러나 모세의 죽음 신 34:5-8에서 하나님의 올려주심을 본다 (?? 어떻게 해석 ?? 죄는 꼭 공의) 모세의 사역은 완성되지 못하지만 하나님의 사역은 완성된다. 그는 툴 하나님께서 주인공 ~~
- 1-3 아랏 (Arad) 무찌름 (가나안 족속과의 전쟁에서 첫 승리??)
- 4-9 (에돔 땅을 우회하려, 20:14-21에서 에돔왕이 완강히 거부) 백성들 불평 (아랏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하나님께서 주신 것(2절)을 잊고 교만해졌을 것임), 불뱀과 놋뱀 (은혜),
- 10-20 모압으로 여정
- 14-15 여호와의 전쟁기라는 책 인용하여 모압과 아모리 경계 지역인 아르론
- 21-35 요단 동쪽 (아모리) 점령
(3) 호르마 (Hormah) --> (4) 에돔 땅을 우회하려 (Edom) --> (10) 오봇 (Oboth) --> (11) 이예아바림 (Iye Abarim) --> (12) 세렛 골짜기 (Zered Valley) --> (13) 아르논 (Arnon, 모압과 아모리 사이에서 모압의 경계가 된 곳) --> (16) 브엘 (Beer, 우물) --> (18) 맛다나 (Mattanah, 사해 북쪽끝, 요단강의 동남쪽) --> (19) 나할리엘에 (Nahaliel, 맛다나 바로 옆), 바봇 (Bamoth) --> (20) 비스가 (Pisgah) --> (23) 야하스 (Jahaz, 사해 북동쪽, 비스가 보다 남쪽) --> (24) Jabbok (요단강 동쪽) --> (25) 헤스본 (Heshbon, 아모리 수도) (32) 야셀 (Jazer, 요단강 동쪽, 헤스본 북쪽) (33) 바산 (Bashan, 갈릴리호 동쪽)
에돔 (Edom, 사해 남쪽): (3), (10), (11), (12) 모압 (사해 남동쪽, 13) 아모리 (Amorites, 사해 북동쪽, 요단 남동쪽) (13) (16) ... (25)
본론
출애굽 후 광야에 40년 지남
(13) 모압의 경계 아르논 (강)을 지나 아모리족은 누구? highland mountaineers who inhabited the land of Canaan, described in Genesis 10:16 as descendants of Canaan, son of Ham and grandson of Noah, and was the father of the Canaanites. He was the recipient of the so-called Curse of Ham (창 9:20-27)
15 모든 골짜기의 비탈은 아르 고을을 향하여 기울어지고 모압의 경계에 닿았도다 하였더라
14,15 는 아르논을 설명하고 있는, 아르논 강 골짜기에서 남쪽에 위치한 아르 고을 (산위?)에 이르고 남쪽의 모압과 경계가 되는 지역 (북쪽, 아모리) 16 거기서 4)브엘에 이르니 브엘(Beer, 우물)은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시기를 백성을 모으라 내가 그들에게 물을 주리라 하시던 우물이라
브엘은 아르논의 남쪽, 세렛 골짜기 근처 -- 다시 돌아갔나? 아니면 이야기가 시간 순이 아닌가? 아님 지도 잘못? 물에 대한 탐구는 광야 생활에서 지속적인 문제였다 (20장, 출 17장)
17 그 때에 이스라엘이 노래하여 이르되 우물물아 솟아나라 너희는 그것을 노래하라 18 이 우물은 지휘관들이 팠고 백성의 귀인들이 규와 지팡이로 판 것이로다 하였더라 그들은 광야에서 맛다나에 이르렀고 19 맛다나에서 나할리엘에 이르렀고 나할리엘에서 바못에 이르렀고 20 바못에서 모압 들에 있는 골짜기에 이르러 광야가 내려다 보이는 비스가 산 꼭대기에 이르렀더라 여시몬 21 이스라엘이 아모리 왕 시혼에게 사신을 보내어 이르되 22 우리에게 당신의 땅을 지나가게 하소서 우리가 밭에든지 포도원에든지 들어가지 아니하며 우물물도 마시지 아니하고 당신의 지경에서 다 나가기까지 왕의 큰길로만 지나가리이다 하나 23 시혼이 이스라엘이 자기 영토로 지나감을 용납하지 아니하고 그의 백성을 다 모아 이스라엘을 치러 광야로 나와서 야하스에 이르러 이스라엘을 치므로 24 이스라엘이 칼날로 그들을 쳐서 무찌르고 그 땅을 아르논에서부터 얍복까지 점령하여 암몬 자손에게까지 미치니 암몬 자손의 경계는 견고하더라 25 이스라엘이 이같이 그 모든 성읍을 빼앗고 그 아모리인의 모든 성읍 헤스본과 그 모든 촌락에 거주하였으니
적용/결론
약속의 땅을 악평하던 정탐꾼들이 재앙으로 죽자 백성은 그들이 불평하던 것을 후회하고 가나안을 향해 진격하다 패배하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과정에서 백성은 가지 말라는 여호와의 명령을 무시하고 진격했습니다. 백성이 가나안 땅으로 진격하는 것이 겉으로는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그들의 고집, 교만, 그리고 그로 인한 불순종의 모습입니다. 제 모습을 돌아보며 한 숨 쉬며 이스라엘 백성 보다는 낫겠지 생각한 순간을 회개합니다. 여러 가지 재앙들이 두렵지만, 그 중 가장 크게 느껴지는 재앙은, 42절 “여호와께서 너희 중에 계시지 아니하니” 하나님께서 함께하지 않는 … 하나님의 임재를 느끼지 못하는 … 이스라엘은 공의로운 하나님께 모두 죽여져도 우리도 ... 하나님의 자비로 애굽은 세상을 나타냄 이스라엘이 애굽의 음식, 육신이 즐거운 것들 ... 생각하며 끈을 놓지 못하는 모습 (완벽한 음식 만나에 만족 감사하지 못함) --> 온전히 버려야 ... 명목상의 교인의 위험성 (내 스스로), 그들의 불평이 커뮤니티 전체로 퍼져나감 -->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을 체험할 수 없음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친다는 말씀이 생각하며 그 은혜를 사모하게 됩니다
맺겠습니다
관련 문서
검색: 민수기
쿼리 설명에 조건이 비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