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공부

Good4Joy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딤후 3:16)

성경 말씀을 어떻게 공부하고 삶에 적용할 것인가는 그리스도인의 주요 관심사입니다. 성경공부가 무엇인지, 왜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성경공부 정의와 유래

영어 성경 시편 - 킹 제임스 버전 (KJV)

기독교 공동체에서 성경 공부는 사람들이 개인적인 종교적 또는 영적 수행으로 성경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많은 기독교 전통에서 기독교 기도와 함께 성경 공부를 하는 것은 헌신이나 헌신적인 행위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많은 기독교 교회는 성경 공부에 그룹으로 참여할 시간을 정해 놓습니다. 그룹 성경 공부의 기원은 오리게네스제롬과 같은 초대 교부들이 기독교인 제자들에게 성경을 광범위하게 가르쳤던 초기 기독교에서 유래했습니다. 기독교에서 성경 공부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가르침을 받고 양육받는 것"과 "성경이 전하는 영감의 힘으로 형성되고 활력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1]

성경공부 이유

우리는 성경을 공부합니다. 왜냐하면 성경이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 (딤후 3:16)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그렇다면 성경공부가 왜 중요합니까?

  • 하나님께 쓰임 받기 위해: (딤후 2:15) 너는 진리의 말씀을 옳게 분별하며 부끄러울 것이 없는 일꾼으로 인정된 자로 자신을 하나님 앞에 드리기를 힘쓰라
  • 믿음 성장을 위해: (벧전 2:2) 갓난 아기들 같이 순전하고 신령한 젖을 사모하라 이는 그로 말미암아 너희로 구원에 이르도록 자라게 하려 함이라
  • 죄를 물리치기 위해: (시 119:11) 내가 주께 범죄하지 아니하려 하여 주의 말씀을 내 마음에 두었나이다
  • 하나님을 경외하기 위해 (시 119:38) 주를 경외하게 하는 주의 말씀을 주의 종에게 세우소서
  • 하나님을 따르는 축복을 누리기 위해: (시 119:105) 주의 말씀은 내 발에 등이요 내 길에 빛이니이다
  • 다른 사람을 돕기(가르치기) 위해: (딤후 2:2) 또 네가 많은 증인 앞에서 내게 들은 바를 충성된 사람들에게 부탁하라 그들이 또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으리라

성경공부 방법

마가복음 - 14세기 아르메니아 채색 성경 (Armenian illuminated manuscript)

듣기

먼저 듣는 것입니다. 믿음은 들음으로 그리고 그리스도의 말씀을 들음으로 난다고 했습니다.

  • (롬 10:17) 그러므로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말미암았느니라

예수님께서 말씀을 듣고 지키는 자가 복이 있다고 하셨습니다.

  • (눅 11:28) 예수께서 이르시되 오히려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는 자가 복이 있느니라 하시니라

목사와 성경 교사는 성도들에게 성경 말씀을 읽고 해석해 주어야 합니다.

  • (느 8:8) 하나님의 율법책을 낭독하고 그 뜻을 해석하여 백성에게 그 낭독하는 것을 다 깨닫게 하니

읽기

그리고 읽는 것입니다. 말씀을 읽고 지키는 자는 복이 있다고 했습니다. 말씀을 읽음으로 하나님의 뜻이 우리의 마음에 전달되고 그 뜻이 우리의 삶을 의의 길로 이끕니다. 하나님의 의의 길을 걷는 복을 누리는 것입니다.

  • (시 1:1-2) 복 있는 사람은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 (계 1:3) 이 예언의 말씀을 읽는 자와 듣는 자와 그 가운데에 기록한 것을 지키는 자는 복이 있나니 때가 가까움이라

바울은 디모데에게 성경 말씀을 읽고, 권하고 가르치는 것에 전념하라 권면합니다.

  • (딤전 4:13) 내가 이를 때까지 읽는 것과 권하는 것과 가르치는 것에 전념하라

마가복음요한복음으로 시작해 보세요. 예를 들어, 하루에 2장씩 읽으면 19주 만에 신약을 다 읽습니다.

공부

바울이 데살로니가를 떠나 베뢰아에서 유대인들에게 복음을 전했습니다. 복음을 거부한 데살로니가 사람들과 비교하여 베뢰아 사람들은,

  • (행 17:11)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이것이 그러한가 하여 날마다 성경을 상고(examining)하므로

우리도 베뢰아 사람들처럼 말씀을 대할 때 간절한 마음으로 주의 깊게 공부해야 합니다. 잠언 기자는 말씀을 소중히 여기고 숨겨진 보물을 찾듯 면밀히 공부하라 권면합니다.

  • (잠 2:4) 은을 구하는 것 같이 그것을 구하며 감추어진 보배를 찾는 것 같이 그것을 찾으면

성경 공부는 단순히 읽는 것 이상으로, 조심스럽게 관찰하고, 해석하고, 그리고 적용해야 합니다. 읽는 것으로 전체적인 그림을 이해할 수 있지만, 공부는 생각, 이해에 따른 삶에 적용에 이르게 합니다.

암기

시편 기자는 하나님 백성으로 살아가기 위해 말씀을 마음에 두고 즉 숙지하고, 외우고 있다고 고백합니다.

  • (시 119:9, 11) 청년이 무엇으로 그의 행실을 깨끗하게 하리이까 주의 말씀만 지킬 따름이니이다 11 내가 주께 범죄하지 아니하려 하여 주의 말씀을 내 마음에 두었나이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말씀을 그들의 마음과 뜻에 두고 자녀를 가르치고 항상 강론(talking)하라 명령하셨습니다.

  • (신 11:18) 나의 이 말을 너희의 마음과 뜻에 두고
  • (신 11:19) 또 그것을 너희의 자녀에게 가르치며 집에 앉아 있을 때에든지, 길을 갈 때에든지, 누워 있을 때에든지, 일어날 때에든지 이 말씀을 강론하고

광야에서 사단의 시험을 받으실 때 예수님은 계속 말씀을 인용하셨습니다.

  • (마 4:4)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기록되었으되 사람이 떡으로만 살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살 것이라 하였느니라
  • (마 4:7) 예수께서 이르시되 또 기록되었으되 주 너의 하나님을 시험하지 말라 하였느니라 하시니
  • (마 4:10) 이에 예수께서 말씀하시되 사탄아 물러가라 기록되었으되 주 너의 하나님께 경배하고 다만 그를 섬기라 하였느니라

시편 기자의 고백처럼 말씀을 마음에 새기고 그 말씀을 기쁘게 순종해야겠습니다.

  • (시 40:8) 나의 하나님이여 내가 주의 뜻 행하기를 즐기오니 주의 법이 나의 심중에 있나이다 하였나이다

목적을 가지고 그라고 본문의 뜻과 적용을 이해하면 암기하기가 쉬워집니다.

묵상

  • (시 1:2)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묵상은 말씀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향한 기도와 같은 반응입니다. 우리의 삶이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말씀을 향한 기도의 사색입니다.

  1. 말씀 묵상은 설교를 들으며, 성경을 읽으며, 공부한 것에 대해 기도하며, 그리고 암기한 구절을 생각하며 할 수 있습니다.
  2. 말씀을 묵상하고 지키면 우리의 길이 평탄하고 일에 형통할 것입니다. (수 1:8) 이 율법책을 네 입에서 떠나지 말게 하며 주야로 그것을 묵상하여 그 안에 기록된 대로 다 지켜 행하라 그리하면 네 길이 평탄하게 될 것이며 네가 형통하리라
  3. 귀중한 말씀으로 마음이 채워져 있다면 우리의 말과 행동이 그것을 반영할 것입니다. (눅 6:45) 선한 사람은 마음에 쌓은 선에서 선을 내고 악한 자는 그 쌓은 악에서 악을 내나니 이는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니라
  4. 말씀 공부를 열심히 함과 동시에 우리는 하나님께 그 말씀을 깨달을 수 있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시 119:73, 125) 주의 손이 나를 만들고 세우셨사오니 내가 깨달아 주의 계명들을 배우게 하소서 125 나는 주의 종이오니 나를 깨닫게 하사 주의 증거들을 알게 하소서

성경공부 단계

기도하는 다윗

준비 (기도)

거룩하신 하나님 그분의 말씀을 대하기 위해 우리는 정결해야 합니다.

  • (벧전 2:1-2) 그러므로 모든 악독과 모든 기만과 외식과 시기와 모든 비방하는 말을 버리고 갓난 아기들 같이 순전하고 신령한 젖을 사모하라 이는 그로 말미암아 너희로 구원에 이르도록 자라게 하려 함이라

말씀으로 채워서 말씀에 순종하며 살아갈 수 있게 기도해야 합니다.

  • (골 1:9-10) 이로써 우리도 듣던 날부터 너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 그치지 아니하고 구하노니 너희로 하여금 모든 신령한 지혜와 총명에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으로 채우게 하시고 주께 합당하게 행하여 범사에 기쁘시게 하고 모든 선한 일에 열매를 맺게 하시며 하나님을 아는 것에 자라게 하시고

말씀을 공부하기 전 짧은 기도의 시간을 가지며, 죄를 고백하고 성령님께 강구합니다.

  • (시 119:18) 내 눈을 열어서 주의 율법에서 놀라운 것을 보게 하소서

관찰

깊은 바다를 탐색하듯

그리고 본문을 관찰합니다. 말씀을 관찰하는 몇 가지 사항입니다.

질문

말씀을 읽어가며 질문을 적습니다. 누가? 무엇을? 어디에서? 언제? “본문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나는 그것을 통해 무엇을 보는가?” 줄거리에 대한 궁금한 것, 익숙지 않은 것, 혹은 혼란스러운 것들을 적어 듑니다.

(예) (질문) "사도"란 무엇인가? 사도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관찰 내용

본문을 관찰하며 아래의 것들을 찾아봅니다.

  1. 배경: 저자는 누구며, 왜 쓰였는가, 역사, 날짜, 주요 인물, 등을 공부한다. 성경책에 이런 정보를 소개하고 있기도 하고 인터넷에서 충분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2. 주요 단어
  3. 주제 (인물, 사건)
  4. 명령, 권면 사항 (특별 절)
  5. 경고
  6. 중복되는 단어나 구절
  7. 비교 (비슷한 것, 다른 것)
  8. 본문에서 주어진 질문과 답변
  9. 특별한 것, 예상치 않은 것
  10. 주어진 단어(절), 구, 이름과 직책, 날짜, 그리고 그 외의 것들의 중요성은 무엇인가?
  11. 특정한 단어의 의미는 무엇인가?
  12. 저자가 이렇게 쓴 이유는 무엇인가?
  13. 이 단어, 구, 이름이 암시하는 것은 무엇인가?

자기의 말로

절이나 문단을 자기의 말로 써본다. 이것은 각 절을 이해하여 자신의 지각으로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 (딤전 1:1) 우리 구주 하나님과 우리의 소망이신 그리스도 예수의 명령을 따라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 된 바울은 —> “우리를 구하시는 하나님과 소망이신 예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전도자 바울은”

통찰

절이나 문단의 관찰을 통해 발견된 이해를 적어본다. (예) 바울은 하나님의 사도로서 부름을 받았다. 그것은 바울 자신의 결단이나 의지에 의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자신의 분석을 마친 후 다른 성경 해설을 통해 부가적인 통찰력을 얻는다. 다른 이 들의 통찰력을 참고하는 것은 더 넓고 깊은 이해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다른이의 해설을 먼저 참고하지는 말고 스스로 분석 통찰을 먼저 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제목과 요약

그 장 각 절 분석을 끝낸 후 제목을 붙이고 주요 절(들)을 찾아낸다. 이 과정은 그 장이 당신에게 주는 메시지를 확실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그 장의 주제를 요약을 쓴다. 이 과정을 각 장에 반복함으로 한 책이 끝났을 때 책의 제목을 붙여본다.

인내

여유를 가지고 인내하며 관찰이나 해석을 너무 빨리 포기하지 않습니다.

해석

해석은 “본문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알아내는 것입니다. 몇 가지 사항입니다.

(1) 우리는 주님께서 거하기에 말씀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요일 2:27) 너희는 주께 받은 바 기름 부음이 너희 안에 거하나니 아무도 너희를 가르칠 필요가 없고 오직 그의 기름 부음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가르치며 또 참되고 거짓이 없으니 너희를 가르치신 그대로 주 안에 거하라

(2) 관찰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습니다.

(예) (질문) "사도"란 무엇인가? 사도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답) 헬라어 (Greek) apostolos 는 apostello 라는 동사에서 온 것으로 뜻은 "보내다"이다. 그러므로 성경에 쓰인 사도는 복음 전파를 위해 보내지는 자들이다.

(3) 그 질문들의 답을 찾기 위하여 아래 것들을 활용합니다.

  1. 문맥 - 전후 사정
  2. 단어의 정의
  3. 문법과 문장의 구조
  4. 성경의 다른 구절들 (Cross Reference): 말씀을 관찰하며 비슷하거나 연관이 되는 문구를 적어본다. 색인, 각주도 활용한다. (예) 사도: 고후 1:1, 나의 구세주 하나님: 눅 1:47, 디 1:3, 우리의 소망이신 그리스도: 골 1:27
  5. 성경 공부 도구: 성경 사전, 스터디 바이블, 성경 백과사전, 성경 주석

(4) 해석 주의 사항

  • 해석이 성경 다른 내용과 일치하는가? 성경은 모순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본문은 다른 곳의 내용과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 말씀 자체가 그 의미를 낼 수 있게 하며, 성경 저자가 의도하지 않는 해석에 이르지 않도록 합니다.
성경의 바른 해석은 딱 하나뿐이고 그것은 성경 저자가 원래 의도한 의미이다.

맺음

성경의 목적은 하나님께서 그분의 뛰어남을 알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경을 해석하며 꾸준히 주님을 바라보아야 한다.

  • (빌 3:8) 또한 모든 것을 해로 여김은 내 주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이 가장 고상하기 때문이라 내가 그를 위하여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배설물로 여김은 그리스도를 얻고

적용

내 삶에 영향은 무엇인가? (예) 바울처럼, 나도 예수님의 제자로서 귀한 복음 사역을 위해 부름 받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증인으로 나의 위치를 알 때만이 나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적용의 단계는 공부를 통해 발견된 진리를 실질적으로 매일의 삶에 담으려는 노력입니다.

(1)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면 우리는 순종으로 답해야 합니다.

  • (약 1:22) 너희는 말씀을 행하는 자가 되고 듣기만 하여 자신을 속이는 자가 되지 말라

(2) 적용 - SPECS

  • Sin: 버려야 할 죄
  • Promise: 기억해야 할 약속
  • Example: 따라 할 본보기
  • Command: 순종해야 할 명령
  • Stumbling block: 피해야 할 장애물
바른 해석은 딱 하나뿐이지만 적용할 것은 많다.

반복

성경 공부는 반복의 과정입니다. 성경의 한 구절을 공부할 때 2(관찰), 3(해석), 4(적용)의 단계는 계속 반복해야 합니다. 구절뿐 아니라 단어, 단락, 혹은 생각에 있어 그 반복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더 많은 반복 할수록 더 깊은 말씀의 의미를 우리는 이해 할 것입니다.

성경 해석학

성경 해석학 (Biblical hermeneutics)은 연역법과 귀납법, 그리고 변증법 등이 있으며, 논리를 어떠한 식으로 풀어가는가에 따라 구별되는 논리법입니다.

용어[2]

  • 연역법: 어떠한 큰 명제를 기준으로 작은 명제들의 옳고 그름을 유추해내는 방법
  • 귀납법: 연역법과 반대의 개념으로 작은 명제들을 기준으로 큰 명제를 이끌어내는 방법
  • 변증법: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 끊임없이 반론을 제시하여 보다 완벽한 진리를 추구하려는 방법

귀납적 성경공부

단단한 음식을 먹는 가장 좋은 방법의 하나는 귀납적 (inductive) 성경 공부입니다. 귀납적인 방법은 본문을 관찰하고, 이 관찰을 통해서 해석하고, 그리고 결론과 적용을 끌어내는 방법입니다. [3]

기독 변증학

기독 변증학 (Christian Apologetic)은 체계적인 논증과 담론을 통해 종교 교리의 진실을 옹호하거나 증명하는 신학 과학 또는 종교 분야입니다. 초기 기독교 작가들(120~220년경)은 변증을 통해 비평가들에 맞서 자신의 믿음을 옹호했으며 외부인들에게 자신의 믿음을 권고했습니다. 기독 변증학 인물로는 바울, 초대 교부들, 그리고 C.S. Lewis가 있습니다.

관련 자료

성경해석 ONE to ONE (조정의 목사님)

How to study the Bible (David Platt)

참고한 자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