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이 우리에게 오기까지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구약 39, 신약 27, 총 66권의 책의 모음입니다. 구약은 이스라엘의 선지자, 제사장, 왕, 그리고 지도자들에 의해 히브리어(일부 아람어)로 쓰여졌고, 신약은 사도와 사도와 관련된 이들에 의해 헬라어(Greek)로 쓰였습니다.
- 참고: 성경 (Bible)
성경이 오늘 우리에게 오기까지, 한글과 영어 성경 번역의 역사를 찾아봅니다. 40여 명에 의해 쓰인 66권의 성경이 수천 년을 흐르며 여러 사람과 사건을 통해 보존되는 것을 관찰하며 우리는 하나님께서 당신의 말씀을 보존하시는 은혜와 섭리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성경 번역 연대표
한글과 영어 성경 번역을 기준으로 보는 주요 사건 연대표입니다.
시 간 | 사 건 |
---|---|
BC 1500-AD 100 | 오늘날 66권으로 구성된 성경이 하나님의 영감으로 40여 명에 의해 히브리, 그리스, 아람어로 쓰임 |
BC 200-AD 50 | 칠십인역 (Septuagint): 히브리 성경(구약)을 그리스어로 번역 |
AD 160–175 | 디아테사론 (Diatessaron): 가장 두드러진 초기 4 복음서, 시리아어 번역(Syriac Versions)으로 타티안(Tatian)이 번역 |
AD 170-397 | 정경화(Canonization): 최초의 정경 - 무라토리의 카논(170, Muratorian Canon), 히포 공의회 (Council of Hippo, 393)와 카르타고 공의회 (Council of Carthage (AD 397) 신약 27권 정경 확인 |
AD 385-404 | 불가타 (Vulgate): 제롬(Jerome)이 라틴어 번역 |
700-1000 | 영어 (Anglo-Saxon) 낱권 번역 |
1382 | 존 위클리프(John Wycliffe, 영국) 영어 성경 완역 |
1525-1535 | 윌리엄 틴데일 (William Tyndale, 영국) 최초 인쇄 완역 (printed translation), 틴데일 로마 교회에 의해 화형당함 |
1535-1610 | 커버데일 번역 (Coverdale Bible, 1535), 매튜 번역 (Matthew Bible, 1537), 타버너 번역 (Taverner's and Great Bible, 1539), 제네바 번역 (Geneva Bible, 1560), 비숍 번역 (Bishop's Bible, 1568), 두에랭스 번역 (Douay–Rheims Bible, 1610) |
1611 | 킹 제임스 번역 (The King James Version, 영국): 19세기 초 역사상 가장 널리 출판된 책 |
1885 | 영어 개정역 (English Revised Version): 영국의 유일한 킹 제임스 공식 개정본 |
1882-1900 | 한글 신약 낱권 번역(1882년~1900년), 1900 ‘신약젼셔’ 완역본 |
1901 | 미국 표준역 (American Standard Version, 미국): 미국 킹 제임스 공식 개정본 |
1911 | 구약 낱권번역과 완역(1898년~1911년), 1911 구약완역으로 한글성경 완역, '셩경젼셔' |
1938 | ‘셩경개역’ 개역 작업 |
1947 | 사해 문서 (Dead Sea Scrolls) 발견[1] |
1952 | ‘성경전서 개역 한글판’: 한글맞춤법통일안 따름; 개정 표준역 (Revised Standard Version, 미국): ASV 개정본 |
1960 | 미국 새표준역 (New American Standard Version, 미국) |
1973 | 새 국제판 (New International Bible, 미국): 현대 영어로 번역 |
1998 | ‘개역개정판’ 어려운 고어와 한자어를 쉬운 말로 수정 |
2001 | 영어 표준역 (English Standard Version, 미국): RSV 개정본 |
칠십인역 (Septuagint)

칠십인역(Septuagint, 라틴어로 70이라는 의미)은 히브리 성경(구약)을 헬라어(Greek)로 번역한 것입니다. 전통에 의하면 70(혹은 72)명의 유대 학자에 의하여 번역되어서 그렇게 불렸고 B.C. 2, 3세기경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쓰였다고 합니다. 이스라엘이 그리스에 7백 년 동안 지배받고 있었기에 헬라어는 점점 더 많이 쓰였습니다. 그래서 히브리어를 읽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 성경을 헬라어로 번역이 필요했습니다. B.C 1, 2세기 들어서며 대부분의 이스라엘 사람들은 헬라어를 주 언어로 썼습니다. 칠십인역은 성경의 다른 언어로의 첫 번역입니다.[2]
칠십인역은 약자로 LXX로 씁니다.
시리아어 번역 (Syriac Versions)
시리아어는 아람어의 방언입니다. 구약성경의 일부는 아람어로 쓰여졌고 신약성경에는 아람어 구절이 있습니다. 신약성경의 시리아어 번역은 최초이며 2세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성경 전체는 5세기에 번역되었습니다. 시리아어 외에도 다른 아람어 방언으로 된 성경 번역본이 있습니다. 시리아는 기독교의 시작에서 중요하고 심지어 주도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곳에서 마태복음, 누가복음, 디다케(Didache), 이그나티아나(Ignatiana), 도마복음(Gospel of Thomas, 외경)이 쓰여진 것으로 여겨집니다. 시리아는 그리스어와 시리아어가 교차하는 나라였으며, 이는 예수님과 사도들이 사용한 아람어 방언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시리아어 번역은 문헌 비평가들에게 매우 높이 평가됩니다.[3]
주요 번역은,
- 디아테사론 (Diatessaron, AD 160–175): 가장 두드러진 초기 4 복음서, 타티안(Tatian)이 번역
- 고대 시리아어 번역 (Old Syriac version): Vetus Syra라고도 불리는 이 4복음서 번역본은 오늘날 4개의 사본이 보존되어 있다
- 페시타 (Peshitta, AD 400s): 페시타는 종교 예배에서 아람어를 사용하는 시리아 교회에서 주로 사용하는 번역입니다.[4]
불가타 (Vulgate)
불가타는 4세기 후반 성경 라틴어 번역본으로 16세기 가톨릭 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지정했고 오늘날까지 쓰이고 있습니다. 불가타는 AD 382년, 교황 다마소 1세 (Pope Damasus I)에 명령에 따라 제롬(Jerome)이 번역했습니다.
단어의 의미는 versio vulgata (일반적으로 쓰이는 버전) 줄여서 vulgata 입니다.
킹 제임스 버전 (KJV)

킹 제임스 버전(KJV), 킹 제임스 성경(KJB), 공인 버전(AV)은 영국 국교회를 위한 기독교 성경의 초기 현대 영어 번역본으로, 1604년에 시작하여 1611년에 제임스 6세와 1세의 후원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처음 킹 제임스 버전의 80권으로 구약 39권, 외경(Apocrypha) 14권, 신약 27권이 포함됩니다. "위엄 있는 스타일"로 유명한 킹 제임스 성경은 영어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책 중 하나이자 영어권 세계의 형성에 원동력이 되었다고 묘사되어 왔습니다. 킹 제임스 성경은 여전히 많은 개신교 기독교도들이 선호하는 번역본입니니다. 킹 제임스 성경은 근대 초 영국의 중요한 문학적 업적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5]
킹 제임스 번역은 47명의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이들은 모두 영국 국교회 회원이었습니다. 그 시대의 다른 대부분의 번역과 마찬가지로, 신약은 그리스어 본문의 Textus Receptus(수신 본문) 시리즈에서 번역되었습니다. 구약 마소라 히브리어 본문에서 번역되었고, 외경은 그리스어 칠십인역(LXX)에서 번역되었지만, 2 에스드라는 라틴어 불가타에서 번역되었습니다. 1769년에 외경을 제외한 옥스포드 판이 표준 본문이 되었고, 대부분의 현재 인쇄본에서 거의 변경되지 않은 본문이 그대로 쓰이고 있습니다.[6]
NKJV (New King Jame Version)
1975년 토마스 넬슨 출판사의 의뢰로, 130명의 존경받는 성경 학자, 교회 지도자, 평신도 기독교인이 7년간 일하여 완전히 새롭고 현대적인 성경 번역을 만들었지만, 원래 킹 제임스 성경의 순수함과 문체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원래의 그리스어, 히브리어, 아람어 텍스트에 대한 확고한 충실함으로, 이 번역은 고고학, 언어학, 텍스트 연구 분야의 최신 연구를 적용했습니다.[7]
성경전서 개역개정
개역개정은 1911년 한글 최초 완역 성경인 셩경젼셔의 3번째 개정판입니다.
셩경젼셔 (1911년): 최초 한글 완역 성경
1887년 2월 설립된 상설성경실행위원회가 번역을 시작한 이래 1890∼1990년 번역해 1904년 출판된 신약젼셔와, 1905∼1910년 번역한 구약을 합쳐 1911년 구약은 대영성서공회가 두 권으로 나누어 출판하고, 신약은 미국성서공회가 출판한 최초의 한국어 성경 완역으로, 구약 2권과 신약 1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성경 완역본과 구분할 때는 성경 초역이라고 부른다.[8]
3번의 수정 [9]
- 셩경 개역 (1938년): 번역을 개정
- 성경전서 개역한글판 (1961년): 한글 마춤법 통일안에 따라 개정
-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1998년): 한글 맞춤법 반영과 꼭 필요한 부분 개정
대한성서공회 (KBS) 자료에 의하면 2011 현재 85~90% 교회에서 개역개정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표준새번역과 NIV
한글 성경은 원문에서 직접 번역하지 않고 다른 번역에서 번역하는 중역(重譯) 방식을 취했습니다. 초기 한글 번역은 1901년 미국에서 나온 미국표준역(American Standard Version)을 기초 본문으로 삼고 그 밖에 한문 성서를 참고한 흔적이 짙다고 합니다. 반면, 표준새번역은 원어 번역 성경으로 구약은 마소라 사본을 저본으로 한 히브리어 성경(Biblica Hebraica Stuttgartencia)을, 신약은 국제성서공회의 그리스어 성서(Novum Testantum Graece)를 사용하였습니다. 주요한 특징은 쉬운 우리말 번역, 히브리어 네 글자로 된 하나님의 이름을 '주'(LORD)또는 '주님'으로 번역, 관습적으로 남성으로 쓰인 '형제'와 같은 말을 평등하게 번역하였습니다. 이 성경은 개역성경을 대체할 목적으로 편찬되었으나 많은 교회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영문의 경우 NIV가 이와 비슷한 사례입니다. 처음 NIV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선호하고 쓰이는 번역이었는데 1996년에 발간한 NIV Inclusive Language Edition (포괄적인 언어본)에 성도들은 실망 했습니다. 2011년 문제 단어들을 수정해서 수정본을 내놓았지만, 이미 신뢰를 잃어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ESV가 복음주의(Evangelical)교회와 성도에게 가장 많이 쓰이는 영어 번역본입니다.
이 결과는 말씀을 바꾸지 않고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아는 성도의 선택이고 또 그 위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은혜와 섭리라 믿습니다. 말씀 중 의미가 애매한 것이 있다면 번역인은 그것을 애매한 대로 그대로 전달해야 하듯 하나님 말씀은 잘 보전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것이 전지하신 하나님 앞에 무지한 우리의 겸손한 자세입니다. 물론 설교자, 성경 교사, 그리고 우리 성도 모두의 의무는 성경 말씀을 잘 해석하려 노력하는 것입니다.
관련 자료

관련 문서
참고한 자료
- http://kcm.co.kr/bible/kor/Gen1.html 개역개정 - 한국컴퓨터선교회
- https://www.esv.org/Genesis+1/ ESV (English Standard Version)
- https://en.wikipedia.org/ Wikipedia
- https://www.gotquestions.org/ Got Questions Ministries
- 성경 번역 - ko.wikipedia.org
- http://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0162
- https://www.gotquestions.org/canon-Bible.html
각주
- ↑ 1.0 1.1 https://en.wikipedia.org/wiki/Dead_Sea_Scrolls
- ↑ https://www.gotquestions.org/septuagint.html
- ↑ https://en.wikipedia.org/wiki/Syriac_versions_of_the_Bible
- ↑ https://www.gotquestions.org/Peshitta.html
- ↑ https://en.wikipedia.org/wiki/King_James_Version
- ↑ https://www.gotquestions.org/King-James-Version-KJV.html
- ↑ https://www.biblegateway.com/versions/New-King-James-Version-NKJV-Bible/
- ↑ https://ko.wikisource.org/wiki/%EC%85%A9%EA%B2%BD%EC%A0%BC%EC%85%94
- ↑ https://www.youtube.com/watch?v=j0u5FYQ-Lw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