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과 성경공부 용어 모음
성경과 성경공부 자료에 쓰이는 용어 모음입니다. (가나다순으로 나열합니다)
가
구원의 순서 (Order of Salvation)
구원의 순서 (라틴어: ordo salutis)는 그리스도의 구원의 혜택이 그분의 백성에게 적용되는 순서를 설명합니다. 개혁파 전통에서는 선택(예정), 전도, 중생(거듭남), 회심, 칭의, 성화, 영화의 순서입니다.
- 자세히 보기: 구원의 순서 (Order of Salvation)
구원의 황금 사슬 (The Golden Chain of Salvation)
로마서 8장 29-30절은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은혜롭고 주권적인 사역의 진행을 설명하기 때문에 종종 "구원의 황금 사슬"이라고 불립니다. 즉, 구속받은 자들은 하나님에 의해 선택되고, 그분에 의해 부르심을 받고, 그분에 의해 의롭다함을 받고, 궁극적으로 그분에 의해 영광을 받습니다.
- 자세히 보기: 구원의 황금 사슬 (로마서 8:29-30)
마
모세오경 (Pentateuch)
토라(תורה)라 불리는 구약 성서의 처음 5개의 책으로, 창세기 (Genesis), 출애굽기 (Exodus), 레위기 (Leviticus), 민수기 (Numbers), 그리고 신명기 (Deuteronomy)입니다.
사
삼위일체 (Trinity)
성경이 가르치는 삼위일체는, 성부께서 하나님이시고, 성자께서 하나님이시고, 성령께서 하나님이시다 - 그러나 하나님은 한 분 이시다. 다르게 표현한다면, 성부, 성자, 성령 세 분이 서로 다른 인격체이시며 동시에 한 하나님이시다. 그리고, 창조로부터 구원의 자비에 이르는 모든 것은 성부로부터 (from the Father), 성자를 통해서 (through the Son), 성령 안에서 (in the Spirit) 이루어진다.
- 자세히 보기: 삼위일체 (Trinity)
성화 (Sanctification)
기독교에서 성화(또는 동사 형태로는 거룩하게 하다)는 문자적으로 "특별한 용도나 목적을 위해 따로 두다", 즉 거룩하게 하거나 신성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라틴어: sanctus와 비교).[1]
- 자세히 보기: 구원의 순서 (Order of Salvation)
신현 (Theophany)
신현이란 성경 속에서 하나님이 인간의 감각으로 느낄 수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시는 것을 뜻합니다. 가장 제한적인 의미에서, 구약성경 시대에 눈으로 볼 수 있었던 하나님의 모습은 항상은 아니지만 종종 인간의 모습이었습니다.[2] 예로는,
-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나타 나셔서 아들을 약속하십니다. 이를 듣고 있던 사라는 남편과 자신의 늦은 나이를 생각하며 웃습니다. 창세기 18장
- 하나님께서 직접 등장하셔서 욥의 질문에 답하십니다. 욥기 38장
- 야곱이 브니엘에서 하나님과 씨름합니다. 창세기 32장
- 모세가 호렙산에서 불이 붙었으나 사그라지지 않는 떨기나무를 보았고 하나님께서 그에게 나타나셔서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구원하실 것을 알리십니다. 출애굽기 3장
- 여호와께서 모세와 여호수아를 회막에 불러 말씀하십니다. 신명기 31장
아
영광 (Glory)
- 예 (요 17:5, 개역개정) 아버지여 창세 전에 내가 아버지와 함께 가졌던 영화로써 지금도 아버지와 함께 나를 영화롭게 하옵소서
그리스어 원문의 단어는 δόξῃ (doxē, 독사)로 번역은,
- 현대인의 성경, 새번역: "영광"
- 영어 번역 (ESV, NIV, KJV, NKJV, NASB, ...): "Glory"
의미는,
- BibleStudyTools.com: “ When used in reference to natural objects "glory" may refer to the brightness of heavenly bodies ( Acts 22:11 ; 1 Col 15:41 ), the fruitfulness of a forest ( Isa 35:2 ; 60:13 ), the awesomeness of a horse's snorting ( Job 39:20 ), or the ornateness of expensive clothing ( Luke 7:25 ).”
- 네이버 사전: "몸이 귀하게 되어 이름이 세상에 빛남"
- Merriam-Webster: “praise, honor, or distinction extended by common consent”
영화 (Glorification)
하나님께서 성도들의 삶에서 죄를 최종적으로 제거하시어 그들이 영원토록 영광 가운데 흠 없이 그분 앞에 서게 하십니다(로마서 8:18; 고린도후서 4:17).[1]
- 자세히 보기: 구원의 순서 (Order of Salvation)
의인화 (Anthropomorphism)
인간의 감정이나 행동을 하나님께 돌린 표현
- (창 6:6) 땅 위에 사람 지으셨음을 한탄하사 마음에 근심하시고
이것은 인간의 감정이나 행동을 하나님께 돌린 표현인 의인화의 강력한 사례입니다(예: 창세기 3:8,[3] 창세기 7:16,[4] 창세기 8:21).[5] 이러한 표현은 종종 근동 문학에 무지하거나 성경은 시대와 국적의 문학적 특성에서 독립적이어야 한다고 가정하는 이들로부터 성경을 폄하하는 피상적인 비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 구절은 여호와께서 인류에 대한 자신의 목적이 좌절된 것에 대해 매우 슬퍼하는 것을 표현합니다.[6]
- (창 8:1) 하나님이 노아와 그와 함께 방주에 있는 모든 들짐승과 가축을 기억하사
차
칭의 (Justification)
칭의는 의롭다고 선언하는 것이며, 어떤 사람이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칭의는 그리스도를 영접하는 자들에게 그리스도의 의가 전가된 것을 근거로 하여 그들을 의롭다고 선언하는 것입니다 (고린도후서 5:21). 칭의의 원리는 성경 전반에 걸쳐 발견되지만, 신자들과 관련하여 칭의를 설명하고 있는 주된 구절은 로마서 3:21-26입니다.[7]
- (고후 5:21) 하나님이 죄를 알지도 못하신 이를 우리를 대신하여 죄로 삼으신 것은 우리로 하여금 그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 하심이라
자세히 보기: 구원의 순서 (Order of Salvation)
하
할렐루야 (Hallelujah)
할렐루야 (히브리어, הללויה) 는 “여호와 당신을 찬양합니다”라는 뜻입니다. “야”는 “야훼(Yahweh)” “여호와”의 약자입니다.
할렐루야와 알렐루야(Alleluia)가 혼용되는 데는 히브리어인 할렐루야를 신약시대 언어인 헬라어로 번역하고, 이것을 다시 라틴어로 번역하면서 생긴 문제다. 헬라어에는 히브리어인 할렐루야에 쓰인 강한 ‘ㅎ’ 발음이 없다. 그래서 이것을 보충하기 위해 강하게 발음을 하라고 쉼표를 뒤집어 놓은 표시(‘)를 써서 ‘알렐루이야(‘ , ‘allelouia)’라고 번역했다. 하지만 라틴어는 헬라어에서 사용하는 격음을 나타내는 부호가 없다. 그냥 ‘알렐루이야(Alleluia)’라고 쓰게 된 것이다. 이런 번역의 과정을 거치면서 할렐루야가 알렐루야로 불리게 된 것이다.
관련 자료
참고한 자료
- https://www.bskorea.or.kr/ 대한성서공회
- https://www.esv.org/Genesis+1/ ESV (English Standard Version)
- https://en.wikipedia.org/ Wikipedia
- https://www.gotquestions.org/ Got Questions Ministries
- https://translate.google.com Google Translate
- https://nara-speller.co.kr/speller/results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
각주
- ↑ 1.0 1.1 https://en.wikipedia.org/wiki/Sanctification_in_Christianity
- ↑ https://www.gotquestions.org/Korean/Korean-theophany-Christophany.html
- ↑ (창 3:8) 그들이 그 날 바람이 불 때 동산에 거니시는 여호와 하나님의 소리를 듣고 아담과 그의 아내가 여호와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동산 나무 사이에 숨은지라
- ↑ (창 7:16) 들어간 것들은 모든 것의 암수라 하나님이 그에게 명하신 대로 들어가매 여호와께서 그를 들여보내고 문을 닫으시니라
- ↑ (창 8:21) 여호와께서 그 향기를 받으시고 그 중심에 이르시되 내가 다시는 사람으로 말미암아 땅을 저주하지 아니하리니 이는 사람의 마음이 계획하는 바가 어려서부터 악함이라 내가 전에 행한 것 같이 모든 생물을 다시 멸하지 아니하리니
- ↑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 ↑ https://www.gotquestions.org/Korean/Korean-justificatio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