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암 (Miriam)

Good4Joy
(미리암에서 넘어옴)
홍해를 건넌 후 구원하신 하나님을 찬양하는 미리암 (출애굽기 15장)

미리암은 구약 인물로 모세아론의 누나입니다.

어린 미리암의 지혜

창세기 마지막 요셉의 이야기에서 이어 출애굽기는 하나님의 축복으로 애굽에서 이스라엘 자손이 불어나는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세월이 흘러 요셉을 알지 못하는 애굽의 새 왕은 이스라엘의 부흥을 두려워하며 이스라엘을 피박 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학대를 받을수록 이스라엘은 더욱 번성합니다. 산파들이 하나님을 경외하여 바로의 명령에도 불구하고 남자 아기들을 죽이지 않음습니다. 결국 바로는 모든 히브리 남자 아기를 나일 강에 던지라 명령합니다. 아들을 낳은 한 레위 여자가 아기를 죽이지 못하고 바구니에 담아 나일강에 띄웁니다. 강가에서 목욕하던 바로의 딸이 그를 발견하고 건져내어 자기 아들로 삼고 이름을 모세라 합니다. (출애굽기 2장)

이 과정에서 미리암은 강에 떠내려가는 아기 동생 모세를 지켜보고 있었고 바로의 딸이 모세를 건졌을 때 그녀에게 다가갑니다.

  • (출 2:7) 그의 누이가 바로의 딸에게 이르되 내가 가서 당신을 위하여 히브리 여인 중에서 유모를 불러다가 이 아기에게 젖을 먹이게 하리이까

바로의 딸은 허락하고 아기 모세는 자기 엄마의 젖을 먹고 자랄 수 있게 됩니다.

미리암의 찬양

홍해에 수장되는 바로의 병사들 (출애굽기 14장)

하나님께서 모세를 이스라엘의 리더로 세우시고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구하십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을 떠나자, 바로는 다시 마음을 바꾸어 커다란 군대를 이끌고 이스라엘을 추격합니다. 추격하는 애굽의 군대가 눈에 보이는 곳에 이르자 이스라엘 백성은 두려워하며 모세에게 불평을 토로합니다.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기적을 행하십니다. 홍해가 갈리고 이스라엘은 갈린 곳에 난 길을 따라 바다를 건넙니다. 하지만 따르던 애굽의 군대는 물이 덮쳐 전멸당합니다. 홍해를 건넌 모세, 미리암,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이 구원에 대한 하나님을 향한 찬양의 노래를 부릅니다. (출애굽기 15장)

  • (출 15:21) 미리암이 그들에게 화답하여 이르되 너희는 여호와를 찬송하라 그는 높고 영화로우심이요 말과 그 탄 자를 바다에 던지셨음이로다 하였더라

미리암은 여성 합창단과 함께 남성 합창단에 화답하며, 각 연이나 송가의 각 부분이 끝날 때마다 "여호와를 찬송하라" 등의 후렴구로 화답했습니다. 여성 합창단은 화답하면서 춤을 추고 소고(tambourine)를 쳤습니다. 춤을 추는 것은 서양의 종교 의식에서는 생소하지만, 고대와 현대를 아우르는 동양의 관습과 매우 일치합니다. 성경에서 이러한 춤의 다른 예로는 다윗이 언약궤 앞에서 춤을 추는 것(삼하 6:16), 입다의 딸의 춤(삿 11:34), 실로의 처녀들의 춤(삿 21:21)이 있습니다. 시편에서도 이러한 춤이 언급됩니다(시 149:3; 4). 춤은 이집트, 프리지아, 트라키아, 페니키아인, 시리아인, 로마인 등 여러 곳에서 종교 의식으로 행해졌습니다. "몸짓의 시(the poetry of gesture)”라고 불리는 것을 종교에 바치는 행위에는 본질적으로 부적절하거나 예의에 어긋나는 것이 전혀 없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나약함은 이러한 행위와 끔찍한 오용을 연결시켰고, 순수한 종교들은 이를 버리거나 의식에 포함시키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그러나 "춤추는 데르비시"라고 불리는 이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이슬람교에 남아 있으며, 그들의 특별한 춤은 헌신의 행위로 여겨집니다.[1]

미리암의 질투

아론과 미리암이 모세가 구스 여자와 결혼한 것을 구실로 질투심으로 모세를 공격했습니다. (민수기 12장)

  • (민 12:1) 모세가 구스 여자를 취하였더니 그 구스 여자를 취하였으므로 미리암과 아론이 모세를 비방하니라

구스는 보통 에티오피아의 히브리어 동등어입니다. 하지만 최근에 아시리아 비문에 구스라는 이름이 등장한 것을 계기로 북아라비아에도 그 이름의 장소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모세의 에티오피아인 아내에 대해서는 다른 곳에서는 전혀 듣지 못했으며, 이 구절은 그의 결혼이 최근에 있었음을 시사하는 듯합니다. 그가 북아라비아 출신이었다면, 모세가 미디안에서 결혼한 십보라와 동일시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민수기 10:29, 출애굽기 2:15-21, 출애굽기 3:1).[2]

이에 하나님께서 모세를 특별한 종이라 칭찬하시며,

  • (민 12:8) 그와는 내가 대면하여 명백히 말하고 은밀한 말로 하지 아니하며 그는 또 여호와의 형상을 보거늘 너희가 어찌하여 내 종 모세 비방하기를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

그리고 둘에게 진노하셨고 벌로 미리암은 나병에 걸립니다. 이에 아론은 모세에게 자신들의 죄를 고백하고 선처를 호소합니다. 모세는 하나님께 기도했고, 하나님은 미리암을 진영 밖에 7일간 있게 하십니다.

관련 문서

검색: 성경인물::미리암

참고한 자료

각주

  1. Pulpit Commentary
  2.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